본문 바로가기

첫번째,

고구려 발전 과정(미천왕~문자왕)

고구려 미천왕(300-331):활발하게 대외팽창을 꾀하였다.

-서안평을 점령

-낙랑군과 대방군을 완전히 몰아 낸 압록강중류지역을 벗어나 남족으로 진출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


고국원왕(331-37)

-전연의 침입을 받아 궁궐이 불타고, 미천왕의 시신을 도굴당하였으며, 왕의 생모와 5만 명이 포로로 잡혀가는 국난을 당하였다.

-백제 근초고왕의 공격을 받아 평양성이 함락되고 전사하였다.


소수림왕(371-384)

-불교의 공인, 태학의 설립, 율령의 반포 등을 통해 지방에 산재한 부족세력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면서 중앙집권국가로의 체제를 강화하려 하였다.


광개토대왕(391-413)

-영토의 확장

.수군을 이끌고 백제를 공경하여 패수에서 백제군을 격파하고 한강 이북까지 진출

.후연을 격퇴하여 요동지역과 만주의 대부분을 차지

.동예 복속

-왜의 격퇴

.신라와 왜,가야 사이의 세력경쟁에 개입하여 신라와 가야에 침입한 왜를 격퇴함으로써 한반도 남부까지 영향

.가야의 중심이 금관가야에서 대가야로 이동하는 계기

-영락이라는 최초 연호 사용:정치적 주체성과 왕권의 강화를 의미

-불교의 진흥


장수왕(413-491)

-광개토대왕릉비 건립

-다면외교추진

.중국의 남조 및 북조와 각각 교류하면서 대립하고 있던 두 세력을 조종하는 외교관계를 써서 중국을 견제

-남진정책 추진

.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고 안학궁을 세웠다.

.신라 눌지왕과 백제 비유왕이 나제동맹 체결

.백제 개로왕이 북위에 국서를 보내어 지원을 요청하는 계기가 되었다.

-영토의 확장

.백제 수도 한성 함락

.한강 전 지역을 포함하여 죽령일대로부터 남양만을 연결하는 선까지 넓혔다.

.충주 중원고구려비

-경당 설립

.평양천도이후 설립된 사학이다.

.청소년들에게 한학과 무술을 가르쳤다

-포용정책추친:의탁해 온 북연의 왕을 영토 내에 머무르게 하고 제후로 대하였다.


문자왕(491-519) : 부여를 복속시켜 고구려 최대의 영토를 확보하였다